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SCRIPT
- 변수
- 웅진씽크빅 #스코프랩스 #미래내일일경험 #ai기획자 #ai기획자양성과정 #dt기획자양성과정
- 토익일기
- 메소드
- 함수
- 주간모드
- 야간모드
- FALSE
- 불리언
- 토익
- boolean
- IF문
- css
- 배열
- 조건문
- Var
- 이론
- array
- 자바스크립트
- While
- javascript
- 반복문
- ID
- 토익공부
- 프로퍼티
- iterate
- 객체
- property
- #웅진씽크빅 #스코프랩스 #미래내일일경험 #ai기획자 #ai기획자양성과정 #dt기획자양성과정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4)
내 발자취
for(var i = 0; i < 5; i++){ console.log("hello world"); }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실행시킬땐 터미널 창 ctrl+`(백틱)으로 열어서 node 파일명.js 로 실행시켜주기.

집에 있는 사물이 많아질수록 우리는 그 사물들을 잘 정리정돈할 필요성이 생기고 정리정돈하기 위해서 수납공간을 마련하게된다. 코딩,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다. 프로그래밍을 하면 굉장히 많은 데이터를 다루게 된다. 그리고 그 데이터들은 성격이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 그냥 코딩을 하는 것을 통해서는 너무 복잡해서 결국 인간의 한계에 도달하고 코딩, 프로그램을 더 복잡하게 못하는 순간에 도달한다. 사람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해진 소프트웨어는 사람이 감당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가 되어버린 것이다. 집에 비유해보면 우리는 수납상자와 같은 것을 통해서 그 사물들을 수납상자, 음식은 냉장고에 두고 이후 부터는 수납상자나 냉장고 하나만 생각하면 된다. =>우리의 머릿속이 다시 단순해지는 효과 배열도 비슷한 느낌으로 상상..

조건문이라는 것은 하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흐름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따라서 다른 순서의 기능들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 기존에 night/day 두개의 버튼으로 페이지를 바꿨던 것을 하나의 버튼으로 만들어 줘보자. 버튼 한개로 야간모드일땐 주간모드로, 주간모드일땐 야간모드로. 이런것을 토글(toggle)이라고 한다. If라는 조건문이 존재하고 만약 현재 주간모드라면 ~코드가 실행되고 만약 현재 주간모드가 아니라면 ~코드가 실행되게 하면 우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앞으로 코드 속에 있는 비교연산자, 비교연산자를 통해 만들어진 결과인 불리언이라는 것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우리의 목표를 위해 버튼을 만들어 주자. 이제 onclick의 설정값에 자바스크립트를 적어주면 된다. (길어지니 줄바꿈 해주면 좋음) 'javascript select tag by css selector'라고 검색했더니 document.querySelector() 이런 결과를 찾을 수 있었다. 괄호안에는 선택하고 싶은 태그를 넣으면 된다. 일반 태그라면 'ABC' 클래스가 부여된 태그라면 '.ABC' 아이디가 부여된 태그라면 '#ABC' 이런식으로 CSS때 사용한 형식을 쓴다. 저 명령어 속 Selector가 CSS의 그 셀렉터! 우리가 선택할 태그는 바디태그 전체이기 때문에 'body'를 입력했다. 이제 바디태그에 스타일 속성을 어떻게 자바스크립트로 넣을 수 있는지 찾아본다. 'javascript..